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BufferedWriter
- string
- For
- 반복문
- Android
- 코딩테스트
- 다트
- Scanner
- dart
- error
- 코틀린
- 안드로이드
- dataclass
- Java
- While
- androidstudio
- CLASS
- 앱개발
- 프로그래머스
- Kotlin
- BufferedReader
- App
- 백준
- 별찍기
- IF
- Return
- for문
- android studio
- array
- flutter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68)
amid.jungs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zJCz/btqXJWtSxhF/hrP3ZfNjskKVMYxqeaAGFk/img.png)
I. arraylist를 이용한 반복문 ✔️for문 1..10 : 1에서 10까지 반복문 실행 step2 : 2씩 건너뛰면서 반복문 실행 (ex. 1,3,5,7,9) until 100 : 99까지 100을 포함하지 않음 ✔️while문 0~9까지를 출력 index++이 없다면 0이 무한대로 출력됨 ☑️실행 결과 : a b c d 1번째 학생 : a 2번째 학생 : b 3번째 학생 : c 4번째 학생 : d 55 current index : 0 current index : 1 current index : 2 current index : 3 current index : 4 current index : 5 current index : 6 current index : 7 current index : 8 curr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9ApL2/btqXLfsKnCY/IsJ3NsB44XGKYs4CzHwUSK/img.png)
I. Array ,List List (수정 불가능) , MutableList (수정 가능) 하나의 array, list에 여러 타입을 같이 넣을 수 있음 ✔️List는 가져올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 주소값이 바뀌는 것이 아니므로 val도 사용 가능 (마지막 코드는 다시 선언하는 것이니까 당연히 오류가 남)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LxWaZ/btqXJVH5Nap/DX3C1X971ak6Rnivgmg7y0/img.png)
I I. String 탬플릿 변수를 출력하고 싶을 때 ${ } 을 사용 $을 문자열로 사용하고 싶을 경우 백슬래시(\)을 앞에 붙여주기 ☑️실행 결과 : my name is amidkim I'm 10 true / false (1 == 0 은 거짓이므로 false) this is 2$a II. 조건식 if문 : max1 , max 같은 식 when문 : return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else를 꼭 써줘야 함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ha73/btqXKvu5U5n/k8O7jrBcmF8kucl1BSR6g1/img.png)
I. 함수 함수정의 : fun(function) + 함수명() + :Unit(=void,리턴형이 없을 때 ,생략가능) 변수 정의 : 변수이름 : 변수타입 (리턴할게 있다면 리턴타입을 지정해줘야 함) II. var val var = value : 변하지 않는 값 val : 변하는 값 var w 는 값이 할당되지 않았으므로 형식을 지정해줘야 함 ✔️val b = 4이지만 val은 변하는 값이므로 출력을 하면 b= 10이 되어 10이 출력됨